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는 16일 0시부터 서울과 경기 지역을 대상으로 사회적 거리 두기 단계를 2단계로 격상했다. 규정에 따르면 서울과 경기 지역에서는 향후 2주간 실내 50인 이상, 실외 100인 이상의 인원이 대면으로 만나는 모든 사적·공적 모임이나 행사가 금지된다. 하지만 정부는 일단 실내외 모임 자제를 권고한 뒤 향후 상황이 악화하면 강제적인 `금지` 조치를 내릴 방침이다.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결혼식, 동창회, 동호회, 공청회 등 서울과 경기 지역에서 실내 50인, 실외 100인 이상의 모임이나 행사를 계획하고 있었다면 연기하거나 최소 한도로 규모를 줄여서 방역 수칙을 지켜 달라"고 당부했다. 또 서울과 경기 지역에서 열리는 프로스포츠 행사도 무관중 경기로 전환된다. 프로야구·프로축구는 최근 관중석 30%까지 관중 입장이 허용됐지만 다시 무관중 경기로 돌아가야 한다.
정부는 방역 수칙을 의무적으로 따르도록 규정된 `고위험시설` 범위를 확대했다. 기존에는 클럽, 유흥주점, 단란주점, 노래연습장, 뷔페식당 등 12개 시설 및 업종이 고위험시설로 분류돼 있었지만 여기에 PC방이 추가됐다. 이에 따라 19일 오후 6시부터 모든 PC방에서 마스크 착용과 출입자 명부 관리가 의무화된다. 클럽, 감성주점, 콜라텍 등에서는 객실 테이블 간 이동이 금지되고 하루에 1개 업소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학원, 오락실, 종교시설, 워터파크, 실내 결혼식장, 영화관, 공연장, 목욕탕 등도 이날부터 방역 수칙을 따라야 한다. 이들 업소에서는 출입자 명부 관리 △이용자 간 2m(최소 1m) 간격 유지 △마스크 착용 등 수칙을 지켜야 한다.
정부는 지난 6월 거리 두기 단계별 실행 방안을 발표한 바 있다. 이에 따르면 사회적 거리 두기 2단계에서는 고위험시설의 운영 자체를 중단해야 한다. 정부는 일단 2주일간 `방역 수칙 강화`에 초점을 맞춰 이들 시설의 운영을 허용한 뒤 2주 후에도 호전되지 않으면 시설 운영을 전면 중단시킬 예정이다.
중대본 관계자는 "2주 후에도 감염 확산 상황이 호전되지 않거나 상황이 악화되면 고위험시설 운영 중단, 모임·행사 금지 등 강화된 2단계 조치를 2주간 연장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밖에 어린이집과 복지관 등 사회복지시설은 사회적 거리 두기 2단계 기간 동안 휴관한다. 박물관·미술관·도서관은 시간당 수용 가능 인원의 최대 30%로, 공연시설은 최대 수용 인원의 50%로 입장 인원이 각각 제한된다.
한편 서울·경기 지역 사회적 거리 두기가 2단계로 격상됨에 따라 9월 11일까지 수도권 학교 등교 인원이 3분의 1(고등학교는 3분의 2)로 제한된다. 학습 격차 우려 등을 이유로 2학기 `매일 등교` 방침을 밝힌 비수도권 지역도 등교 인원을 교육부 권고에 따라 3분의 2로 줄여야 한다.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16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정례브리핑에서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사회적 거리 두기 2단계 격상에 따른 2학기 학사일정 조정 계획`을 발표했다.
[박승철 기자 / 정슬기 기자 / 신혜림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ugust 16, 2020 at 03:50PM
https://ift.tt/346c77w
거리두기 2단계…어린이집 휴원, 초중교 33%만 등교 - 매일경제 - 매일경제
https://ift.tt/37lItuB
0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