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적교체 아닌 후속 대책으로 내놓겠다는 의지
청와대는 10일 여권 일각에서 부동산 정책에 책임을 물어 경질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는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을 교체하지 않을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이에 따라 김 장관은 역대 최장수 국토부 장관이 될 가능성이 커졌다. 이날 여론조사에선 문재인 정부의 부동산 정책이 "잘하고 있다"는 평가는 17%에 그친 반면, "잘못하고 있다"는 평가는 64%에 달했다.

6·17 부동산 대책을 발표한 이후 오히려 집값이 오르고 전세난이 심해지는 등 시장 불안이 커지자, 문재인 대통령의 지지율이 떨어지는 등 정권에 부담이 되고 있다. 한국갤럽이 지난 7일부터 9일까지 만18세 이상 유권자 1001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여론조사에서 문 대통령 지지율은 47%로 나타났다. 3월 초 이후 4달 만에 40%대 지지율로 후퇴한 것이다. 문 대통령이 국정수행을 잘못하고 있다고 응답한 사람 중 25%는 '부동산 정책'을 그 이유로 꼽았다. 또 같은 조사에서 응답자의 64%는 "문재인 정부가 부동산 정책을 잘 하지 못하고 있다"고 평가했고, 61%는 "앞으로 1년간 집값이 현재보다 오를 것"이라고 봤다(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최근 내놓은 부동산 대책에 대해서도 회의적으로 바라본 것이다.
이 같이 여론이 악화되자 여권 내에서도 김 장관 교체론이 제기되고 있다. 유력 차기 대선주자인 민주당 이낙연 의원은 전날 라디오 인터뷰에서 김 장관 경질론에 대해 "인사(人事)는 대통령의 일이고 함부로 말하는 것이 직전 총리로서 적절하지 않지만 정부도 여러 가지 생각을 하고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 장관 교체를 직접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시기를 봐가며 인적 쇄신을 검토하고 있을 것이란 뜻으로 해석됐다. 같은 당 홍익표 의원도 라디오에서 "여당 의원으로서 참 난감하긴 한데, 정책 변화나 국면 전환이 필요할 수도 있다"며 "그런 부분(김 장관 교체)도 고려해야 할 타이밍이 아니냐"고 했다.
청와대가 김 장관을 신임하고 있다는 뜻을 밝힌 것은 부동산 문제는 인적 교체가 아닌 추가 정책을 내놓아 대응할 사안이라고 판단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앞서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2일 김 장관으로부터 부동산 문제와 관련한 긴급 보고를 받으면서 "반드시 집값을 잡겠다는 의지가 중요하다"며 "보완책이 필요하면 주저하지 말고 언제든 추가 대책을 만들라"고 주문했다. 문 대통령이 김 장관에게 직접 후속 대책 마련을 지시한 상황에서 김 장관을 교체하는 것은 합당하지 않다는 것이다.
김 장관은 문재인 정부 초대 국토부 장관으로 지난 3년여간 부동산 정책을 이끌었다. 김 장관은 오는 9월이 되면 이명박 정부에서 3년 3개월간 재임한 정종환 전 국토해양부 장관의 기록을 깨고 역대 최장수 국토부 장관이 된다.
July 10, 2020 at 02:11PM
https://ift.tt/2DpzMnX
'부동산 정책 잘못' 64%지만…靑 "김현미 장관 교체 안 한다" - 조선비즈
https://ift.tt/37lItuB
0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