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와 일본 등 11개국 참가 CPTPP 가입도 추진
영국이 '포스트-브렉시트(Brexit·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무역협정의 일환으로 호주 및 뉴질랜드와의 공식 협상에 돌입했다고 로이터 통신과 AFP 통신 등 주요 외신이 17일(현지 시각) 보도했다.

호주와의 무역협정 논의는 이미 진행돼왔지만, 정식 협상은 브렉시트 이후로 미뤄져 왔다. 호주는 영국과의 무역협정 합의가 연내 이뤄질 수 있다는 기대를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외신 보도를 종합하면 리즈 트러스 국제통상부 장관은 성명에서 "호주, 뉴질랜드와 같은 오랜 친구들과의 야심 차고 광범위한 자유무역협정은 브렉시트 약속을 이행하는 강력한 방법"이라며호주, 뉴질랜드와의 자유무역협정 목표를 제시했다.
이에 따라 1차 협상은 수주 내 열릴 예정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해 화상회의 방식으로 진행될 것으로 전망된다.
영국 정부는 호주, 뉴질랜드와의 자유무역협정 협상은 상품 및 서비스 교역을 늘리고 국경 간 투자를 확대하는 방향으로 진행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디지털 교역, 소기업 수출 지원 등에 관해서도 논의할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별개로 호주와는 기술과 혁신, 연구·개발 등에, 뉴질랜드와는 기후변화와 관련한 보호에 관해 특히 초점을 맞출 예정이다.
영국 정부는 이와 함께 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 경제동반자협정(CPTPP) 가입도 추진하겠다고 이날 밝혔다.
캐나다와 호주, 일본, 베트남 등 세계 11개국이 참여한 CPTPP는 2018년 12월 말 발효됐다. 완전 발효되면 전 세계 국내총생산(GDP)의 13.5%를 담당하며, 4억9500만명의 소비자를 가진 무역 블럭을 구축하게 된다. 여기에 영국이 추가되면 전 세계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6%로 올라간다.
트러스 장관은 "영국은 세계에서 가장 큰 자유무역지역 중 하나인 CPTPP 가입을 추진할 것"이라며, 이를 통해 코로나19로 인한 도전을 극복하고, 무역 관계에 있어서 다양성을 확보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June 18, 2020 at 06:51AM
https://ift.tt/2Bg1geH
영국, 호주·뉴질랜드와 '포스트 브렉시트' 무역협상 개시 - 조선비즈
https://ift.tt/37lItuB
0 Comments:
Post a Comment